[:ko]HANA와 관련한 질문과 답을 나누는 곳입니다.[:en]It is a place to share questions and answers related to HANA.Please refrain from advertising.[:]
Re:commit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..
작성자
박성두
작성일
2021-02-23 12:55
조회
552
네 질문에 약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.
A.에서 20건을 적재라고 표현을 했는데 이것은 DATA를 Insert 했다는 의미인것 같은데
B에서는 그 테이블에서 20건을 삭제되지 않고 검색 된다고 하는데요.
A에서 Inert한것을 B에서는 삭제된 것이 보여진다고 해서 이 상황이 좀 이해가 안되네요.
지금까지 이해한 내용으로 질문에 답변을 들이면 사용자가 Commit했다고 해서 disk에 바로 내려 쓰는 구조는 아님니다.
첨부된 그림 파일(HANA Savepoint) 참고하세요.
commit이 완료되면 A나 B 모두 동일한 내용을 보여줘야 하는데 왜 다르게 보이느냐 하는게 질문인것 같네요.
일반적으로 A가 Write하는 내용은 Delta Storage에 저장되여 B가 변경되는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.
(Node2+1 이라 Master node와 Slave node에서 보여지는게 다를 수 있습니다.
그래서 테스트하는 A 사용자가 Slave node에서 접속해서 적재를 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)
A 사용자가 Commit 했다고 해서 disk에 내려 쓰는 것은 아니고 5분마다 변경한 data를 disk에 내려 쓰게 됩니다.
또는 수동으로 " ALTER SYSTEM SAVEPOINT"을 수행 후에도 disk에 변경된 내용을 disk에 내립니다.
savepoint 가 수행되는 아래 조건에 맞으면 수행됩니다.
global.ini -> [persistence] -> savepoint_interval_s = 300(초)= 5분마다
startup
soft shutdown
backup
snapshot
reclaim datavolume
auto merge function (mergedog)
manual
수동으로 savepoint 명령어(ALTER SYSTEM SAVEPOINT)를 수행한 후에 적재한 Data가 잘 보이는지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.
A.에서 20건을 적재라고 표현을 했는데 이것은 DATA를 Insert 했다는 의미인것 같은데
B에서는 그 테이블에서 20건을 삭제되지 않고 검색 된다고 하는데요.
A에서 Inert한것을 B에서는 삭제된 것이 보여진다고 해서 이 상황이 좀 이해가 안되네요.
지금까지 이해한 내용으로 질문에 답변을 들이면 사용자가 Commit했다고 해서 disk에 바로 내려 쓰는 구조는 아님니다.
첨부된 그림 파일(HANA Savepoint) 참고하세요.
commit이 완료되면 A나 B 모두 동일한 내용을 보여줘야 하는데 왜 다르게 보이느냐 하는게 질문인것 같네요.
일반적으로 A가 Write하는 내용은 Delta Storage에 저장되여 B가 변경되는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.
(Node2+1 이라 Master node와 Slave node에서 보여지는게 다를 수 있습니다.
그래서 테스트하는 A 사용자가 Slave node에서 접속해서 적재를 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)
A 사용자가 Commit 했다고 해서 disk에 내려 쓰는 것은 아니고 5분마다 변경한 data를 disk에 내려 쓰게 됩니다.
또는 수동으로 " ALTER SYSTEM SAVEPOINT"을 수행 후에도 disk에 변경된 내용을 disk에 내립니다.
savepoint 가 수행되는 아래 조건에 맞으면 수행됩니다.
global.ini -> [persistence] -> savepoint_interval_s = 300(초)= 5분마다
startup
soft shutdown
backup
snapshot
reclaim datavolume
auto merge function (mergedog)
manual
수동으로 savepoint 명령어(ALTER SYSTEM SAVEPOINT)를 수행한 후에 적재한 Data가 잘 보이는지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.
전체 81